- 생각 파트너 홈페이지
- 코치올 블로그(TISTORY)
- 미위마인드(공부방)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치올 진단
- 생각 파트너 페이스북
- 미위마인드 인스타그램
- ICF(국제코칭연맹)
- 한국코치협회
- 한국코치협회지: Coaching
- 임원코칭포럼
- 위비백과DB-ChoSun
- INFORMATION FACTORY
- SERI.org
- 미국심리학회(Consulting PJ)
- 산업및조직심리학회(미)
- Organizational Dynamics
- Personneal Psychology 학술지
- J of Applied Behavioral Sci⋯
- Harvard Business Review
- Academy of M(경영컨설팅부문)
- Dissertation Abstracts
- 위키피디아
- 위드블로그
- 블로거팁
- Limegallery
- 남관희코치의 감수성훈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기수용
- Being과 Doing
- 효과성 코칭 워크숍-조직코칭
- 임원코칭
- 생각 파트너
- 생각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효과성 코칭 모델
-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 개인코칭
- 코치올
- 코칭심리학 공부방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 코칭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성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자기인식
- 조직효과성진단
- 코칭심리학 워크북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조직코칭
- 코칭방법론
- Today
- 16
- Total
- 150,214
목록[방문 감사합니다] (404)
생각 파트너

한 대기업의 연구소장은 연말만 되면 스트레스를 받았다. 연구소에서 키운 유능한 인재를 본사에서 빼가기 때문이다. ‘쪽찝게’, 그가 사용한 표현이다. 코칭세션을 진행하면서 몇가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중의 일부는 소장의 역할 영역을 벗어난 것이었다. 반면 그가 변화 주제로 설정하고 실천할 수 있는 것도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핵심 포지션에 대한 승계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것이었다. HRM 컨설팅을 하듯이 승계계획 수립과 운영의 틀을 코칭했던 추억이 있다. 왠지 이런 코칭 이슈를 가진 리더를 또 만날 것 같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박사과정에 있을 때 가장 핫한 통계적 접근은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이었죠. Jim Jaccard 교수가 진행하는 과정을 두 학기 수강했죠. 그는 아주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죠. 당시 LISREL을 돌리려면 학교 메인시스템에 접속하거나 DOS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었습니다. 어렵게 프로그램을 구해서 사용했지요. 나중에야 윈도우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그의 강의 덕분에 학술논문도 SSCI 학술지에 게재할 수 있었죠. 어느덧 30년 전의 일이네요.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LISREL 책들을 책장에 두고 있는 까닭은 그때의 학구열과 깨달음을 추억하기 위해서죠. 고등통계분석법을 사용하면서 얻는 것도 있지만 잃는 것도 많다는 것입니다. 잃는 ..

다음 주 3/25(금, 9:00~17:00)에 진행하는 ‘효과적 리더십진단(ELA)디브리핑’의 주교재를 우체국에서 택배 발송했습니다. 이메일로 발송한 본인의 ELA 보고서를 참고해 미리 공부해 보시기 바랍니다. 당일에 많은 Q&A를 나눠요.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mewemind.com/121

팀효과성진단은 팀장의 리더십이 그가 책임 맡고 있는 팀에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리더십진단이 개인차원이라면 팀효과성진단은 팀차원(조직차원)이죠. 개인과 팀의 관계를 위계적이며 시스템적으로 조망할 수 있어 흥미롭습니다. 팀의 상위 조직을 맡은 조직장(BU장, 센터장, 본부장 등)이 팀에 대해 갖는 현실인식은 어떨까요? 조직효과성진단은 이에 대한 정보를 주죠. 부족하지만, 인터뷰를 통해 그 윤곽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팀장을 대상으로 그룹코칭을 하기 위해 큰 그림 틀의 사고(big picture thinking)를 하려고 합니다. 조직이 어떻게 운영되는 지를 팀차원에서 먼저 중점적으로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이후 코치로서 그룹코칭을 위한 큰 판을 짤 것입니다. 미위마..

G세대, M세대, Z세대, MZ세대로 끊임없이 범주적 사고로 사회 구성원을 나누고 쪼갠다. 기업을 포함한 조직도 마찬가지이다. 한편에서는 사회통합을 외친다. One team을 만들겠다고 한다. 이러한 범주화 논리에 마케팅이 한몫한다. 시장과 정치 논리도 끼어든다. 분열을 조장한다. 세대 차이를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없을까요? 근본적인 사고 전환이 필요합니다. 코칭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존재코칭(being coaching)의 관점에서 보면, 세대 차이는 다양성(diversity)의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신세대라고 부르는 신인류의 출현은 존재의 특정 질적 속성이 다를 뿐이죠. 다양성을 수용하자고 외치면서 왜 다른 한편으로는 세상을 범주적 사고(categorical t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