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과성 코칭 모델
- 코칭방법론
- 자기인식
- 개인코칭
- 조직효과성진단
- 생각파트너 이석재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원하는 결과
- 조직코칭
- 이석재 코치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증거기반코칭
- 코치올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칭심리학 워크북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심리학
- 팀효과성진단
- 생각 파트너
-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 효과성코칭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효과성코칭워크숍
- Today
- 0
- Total
- 168,464
목록효과적 리더십진단 (14)
코치올

4월 21일 진행하는 '효과적 리더십진단 디브리핑' 과정 참가자가 자신의 리더십을 다면진단해 보도록 했습니다. 진단이 준비된 참가자부터 먼저 진단 시작~~!!! -코치올 생각 파트너 https://thinkingpartner.co.kr/881

효과성 코칭은 원하는 결과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결정적 행동을 찾아 이를 실행시키도록 합니다. 이를 위해 효과성 코칭은 강점 요인-결정적 행동-원하는 결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그 관계성을 높이는 코칭을 전개합니다. 리더를 코칭하는 경우, 흔히 행동변화 계획을 수립합니다. 그 실행계획에 어떤 내용을 담을 것인가? 효과성 코칭은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결정적 행동을 담아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코칭 설계를 합니다. 먼저 코칭 대상자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리더십 역량을 효과적 리더십 진단(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으로 다면 진단하고, 그의 리더십 영향력의 범위에 있는 조직 단위에서 효과성 현황을 진단합니다. 사업부장(임원)은..

이론과 현장코칭이 연계되기 위해서는 상호의존적인 논리관계에 있는 4가지 전문영역을 다루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간 '코칭심리학-코칭방법론-효과성코칭-증거기반코칭' 공부방에서 사용한 워크북은 '코칭방법론' 책을 집필하는데 백본이다. 코칭방법론이 그 중심에 있다. 필요한 만큼 참고하자. 새 책의 목차 구성은 2020년 출간한 코칭방법론과 달라야 한다. 2023년에 출간하려는 코칭방법론의 목차를 통합적 관점에서 작성하자. 새 책은 코칭에 입문하거나 현재 코치로 활동하면서 코칭방법론을 알고 싶은 분들에게 유익한 책이 될 것이다. 또 코칭관련 대학원생, HR전문가들도 읽고 싶은 책일 것이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mewemind.com/6

● 효과성 코칭 소개 1. 효과성 코칭은 이석재 박사(2014)가 개발한 효과성 코칭 방법론에 대한 학습과정입니다. 2015년 1월에 첫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동년 8월에과 으로 개편했습니다. 2018년 7월 9일에 국제코칭연맹(ICF)으로부터 코치역량강화 프로그램(효과성코칭워크숍, CCE 30시간)으로 첫 인증을 받았습니다. 이후 매년 갱신했으며 2020년 9월 30일까지 인증이 유효합니다. 그러나 3차 갱신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2. 효과성코칭은 기존의 개인코칭을 기초로 조직코칭의 핵심을 도출해 만든 통합본입니다. - 효과성코칭의 철학과 접근, 방법을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A to Z를 상세히 소개 - 효과성 코칭 모델과 효과성 코칭 방법론을 토대로 시스템적 코칭을 전개 - 리더의 리더십..

팀효과성진단은 팀장의 리더십이 그가 책임 맡고 있는 팀에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리더십진단이 개인차원이라면 팀효과성진단은 팀차원(조직차원)이죠. 개인과 팀의 관계를 위계적이며 시스템적으로 조망할 수 있어 흥미롭습니다. 팀의 상위 조직을 맡은 조직장(BU장, 센터장, 본부장 등)이 팀에 대해 갖는 현실인식은 어떨까요? 조직효과성진단은 이에 대한 정보를 주죠. 부족하지만, 인터뷰를 통해 그 윤곽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팀장을 대상으로 그룹코칭을 하기 위해 큰 그림 틀의 사고(big picture thinking)를 하려고 합니다. 조직이 어떻게 운영되는 지를 팀차원에서 먼저 중점적으로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이후 코치로서 그룹코칭을 위한 큰 판을 짤 것입니다. 미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