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칭심리학
- 개인코칭
- 효과성코칭
- 생각 파트너
- 생각파트너 이석재
- 증거기반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원하는 결과
- 효과성코칭워크숍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자기인식
- 조직코칭
-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 이석재 코치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코칭방법론
- 효과성 코칭
- 코치올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코칭심리학 워크북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조직효과성진단
- 팀효과성진단
- 효과적 리더십진단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Today
- Total
목록효과성 코칭 워크숍 (19)
코치올

지난 2009년에 '팀효과성진단(TEA)', 2011년에 '조직효과성진단(OEA)'을 개발했습니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코칭은 주로 개인코칭이었지요. 진단은 '효과적 리더십진단(ELA)'을 개발해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운명처럼 한 고객사를 만나죠. 코칭은 약 8년간 지속되었습니다. 장기간 코칭하면서 얻는 가장 큰 이점은 바로 코칭의 영향력을 체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팀장을 코칭하면서 그의 리더십이 팀과 팀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죠. 사업부장을 코칭하면서 그의 리더십이 사업부, 소속 팀과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습니다. 어떤 고객사에는 사업부장과 소속 팀장들을 함께 코칭했습니다. 이를 통해 리더 개인의 변화가 그가 책임 맡는 조직 단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조직개발 주제와..

지난 2015년 개인-팀-조직의 효과성을 진단하고 연계하여 시스템적이며 통합적 접근을 취하는 효과성 코칭 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을 개설했습니다. 그 이후 2022년 현재까지 3개의 공부방(이론-방법론-실증)을 추가했습니다. 모두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실천하기 위한 것이죠. 또 전문코치로 활동하는 분들이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코칭 고객에게 더 체계화되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길 바랍니다. 덤으로 코치의 차별적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코칭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mewemind.com/26

2015년부터 생각 파트너의 '효과성 코칭'에 대한 학습과정으로 '효과성 코칭 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기초가 되었던 내용을 공부하는 방을 개설했습니다. 코칭심리학의 주요 이론을 학습하고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해 보는 '코칭심리학 공부방', 이론의 실천을 학습하는 사례로서 생각 파트너의 '효과성 코칭 워크숍', 이에 대한 현장 중심의 실천사례를 공부하는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입니다. 특히 증거기반코칭을 실천한 사례를 선별하였습니다. 모든 공부방에서는 주교재인 '워크북'workbook을 활용하여 생각나눔과 교학상장하도록 진행합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인간의 정신건강 이슈에 대한 관점이 부정적이며 치료적이었던 Freud의 정신분석학에서 긍정적이며 치유적인 Rogers의 내담자 중심, 인간 중심의 심리상담과 치료로 발전했다. 이후 해결중심 단기치료, 수용전념치료 등 새로운 접근도 계속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종래 상담/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가 전문가와 비전문가 구도에서 상호협력 관계로 바뀌었다. 상담과 심리치료 전문가들은 내담자의 과거 경험에서 상처를 보더라도 현재의 삶을 건강하게 사는데 유용한 심리적 요소를 찾아내 내담자가 긍정적으로 활용하도록 돕는다. 최근 새로운 전문영역으로 관심받는 코칭은 어떤가? 요즘 심리상담과 치료의 인간관과 유사하지만, 코칭은 코칭대상자가 처한 삶의 맥락과 목표지향적인 협력관계를 강조한다. 또 목표를 이루는 해법..

주말에 온통 집중한 것은 과 , 등 세 공부방을 연결 과정으로 완성시키는 것입니다. 은 코칭을 심리학의 여러 이론 관점에서 탐구하죠. 특히 코칭심리학을 학습하면서 자기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합니다. 이를 현장에서 증거기반으로 실천하기 위한 실천과정으로 을 공부합니다. 이에 대한 주학습 교재가 이죠. 수차례 내용을 검토하고 오타를 확인했습니다. 마지막 단계로 을 현장에서 수행한 을 탐구합니다. 1. 코칭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 코칭심리학을 알고 싶다(코칭심리학 워크북): 코칭심리학 공부방 2. 코칭을 이론에 기초한 증거기반코칭으로 전개하고 싶다(증거기반코칭 워크북): 증거기반코칭 3. 증거기반코칭 사례를 통해 실제 모습을 알고 싶다(10가지 코칭사례):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이와 같이 세 공부방의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