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개인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성코칭
-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워크북
- 자기인식
- 효과성코칭워크숍
- 코치올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생각파트너 이석재
- 증거기반코칭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조직코칭
- 이석재 코치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효과성 코칭
-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팀효과성진단
- 조직효과성진단
- 코칭방법론
- 생각 파트너
- 원하는 결과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효과성 코칭 모델
- Today
- 5
- Total
- 169,252
목록2022/01 (7)
코치올

코칭은 아직 코칭이론을 가지고 있지 못하죠. 코칭이론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면 주로 인접 학문에서 개발된 이론을 토대로 코칭을 보는 수준입니다. 이러한 연역적 접근으로는 코칭의 고유한 차별성을 찾아내기 어렵지요. 코칭이 전문성을 키우려면 코칭이 일어나고 있는 코칭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귀납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죠. 코칭심리학은 코칭을 보는 '논리 틀'에 대한 정보를 줍니다. 코칭심리학을 공부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상담이론이나 심리치료와 관련된 이론이 아닌 다른 심리학적 접근과 이론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죠. 예를 들면 발달심리, 조직심리, 학습심리, 사회심리, 문화심리, 인지심리, 지각심리 등이죠. 상담이론이나 심리치료이론의 틀에 묶이지 말아야 합니다. 그 분야의 이론을 바..

2월 18일(금)과 19일(토), 9:00~17:30 코칭심리학 공부방을 진행합니다. 다음과 같이 생각하십니까? ‘코칭을 하면 할수록 어렵다’, 오랫동안 했지만, 지나고 보니 무엇을 했는지 모르겠다', ‘코칭고객 마다 코칭 이슈가 달라 대응하기 어렵다’, ‘코칭이론을 알아야 하나?’, ‘체계적으로 코칭을 공부하고 싶다.’ 코칭심리학을 통해 나만의 코칭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한 질문을 자신에게 던져 봅니다. 코칭이란 무엇인가? 나는 어떤 코칭을 전개하는가? 성공적인 코칭의 작동원리는 무엇인가? 그 원리가 내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내가 경험한 통찰은 무엇인가? 코칭심리학은 내게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통찰과 시사점을 종합해 볼 때 나는 어떤 코칭을 하는 전문가인가? 그 논리 틀은 무엇인가? 생각과 코칭 ..

이번 주 21일(금)과 22일(토)에 9:00~17:50 진행하는 ‘코칭방법론 공부방’에서는 코칭방법론에 기초하여 step-by-step 나만의 코칭프레임워크를 갖도록 돕습니다. 전문코치로서의 정체성은 바로 “나는 어떤 코칭을 하는 전문가인가?”에 대한 답이죠. 나만의 코칭프레임워크를 통해 코치가 전문코치로서 자기정체성을 갖추도록 돕습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mewemind.com/86 코칭방법론 공부방 등록 ● 코칭방법론 공부방 소개 1. 글로벌 차원에서 보면 지금은 코칭방법론 시대입니다. 코치가 사용하는 코칭 접근이 검증되기 위해서는 코칭 방법론이 필요합니다. 코칭 방법론은 코칭 이슈에 mewemind.com

지난 2015년 1월 30일에 제10회 창조코칭포람에세 '강점의 발견과 효과적 활용'을 주제로 특강을 했습니다. 강의 일부 내용이 있는 동영상 파일을 찾았습니다. 열띤 토론도 추억이고 벌써 햇수로 7년 전의 일이네요.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