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씽킹 파트너
- 조직코칭
- 결정적 행동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 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성코칭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증거기반코칭
- 이석재 코치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원하는 결과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팀효과성진단
- 코칭심리학 시리즈
- thinking partner
- 코칭심리학
- 코칭방법론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생각 파트너
- 코치올
- 코칭 프레임워크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조직효과성진단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코칭심리 탐구 (202)
코치올

내 삶의 후반전, 생각이라는 단어에 꽂히다.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 간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p=1630

조직 변화를 만드는 코칭, 어떻게 할 것인가? 코칭 리더십을 통한 조직 효과성 향상은 조직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실행과 존재의 균형 리더십이며, 존재를 통해 실행을 촉진시키는 인간 중심의 경영이다. 신간 [코칭방법론] 209쪽에서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당신의 존재감은 무엇입니까?” 효과성 코칭 모델과 이론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존재’being와 ‘실행’doing의 관계를 개념화하는데 여러 해를 보냈습니다. 사회심리학자로서 존재감presence의 자리에 자기self 또는 자기존중감self-esteem을 대체할 수도 있지만, 코칭의 관점에서 존재감을 선택했습니다. 이 개념은 지금 여기here and now에서 자기 자신을 자연스럽게 인식하는 주체의 모습이며, 사회적 관계에서 타인이 지각한 내용의 질적 속성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심리학 기반으로 효과성 코칭의 이론을 체계화하는 한 예입니다. 신간 [코칭방법론] 47쪽 -아침단상,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2020년부터 '증거기반코칭으로 성장하기'를 슬로건으로 활동합니다. 2월에 출간될 책을 통해 국내에서 전문코치 1세대로 지금까지 전문코치로 활동하면서 증거기반코칭으로 나아가기 위해 개발한 코칭모델과 코칭방법론을 공유할 생각입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커피 한잔을 손에 들고 자기와 만남의 시간을 가져봅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http://thinkingpartner.co.kr

더 잊기 전에 블로그에 기록으로 남겨 둔다. 박사학위논문을 쓸 때 사용한 실험장치(게임)와 실험을 도와준 실험진행자와 실험동조자(confederate)가 머물렀던 방, 실험실 내에 있던 내 방. 그 당시는 실험공간이 있어 무척 감사하고 깔끔하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보니 참 어수선하다. 정리정돈에는 무심했던 것 같다. 당시 내가 설계한 사회심리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4개의 방이 필요했는데, 다행스럽게도 3개의 방이 있는 사회심리실험 공간이 있어 4년(1991~1994)을 사용했다. 1995년 학위를 마친 후 나의 실험을 반복하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 다른 학생에게 실험도구와 서울에서 가져간 흑백 모니터와 286컴퓨터(현대전자) 본체를 넘겨주었다. 비록 floppy disk IBM DOS로 부팅을 하는 것..
이번에 외국인 임원을 코칭하게 되어 몇가지 자료를 들춰보다가, ICF 11가지 핵심역량을 영어 버전으로 또 읽어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수도없이 반복해서 읽어 보았지만, 이번에는 아주 세밀하게 읽어 보았습니다. 영어로 코칭을 해야하니, 코칭에 대한 영어적 표현을 살펴보고 싶었습니다. 코칭의 관점, 철학은 완전히 철저하게 코칭고객에게 맞춰져 있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개인과 조직의 성장을 돕는 여러 전문영역들이 있지만, 코칭은 차별적으로 코칭대상자를 신뢰하며 그가 처한 맥락에서 원하는 삶과 존중하는 가치가 현실에서 구현되고 실현되도록 돕는 전문영역입니다. "나는 과연 코칭대상자를 100% 신뢰하는가?", "나는 그의 온전함을 인정하고 존중하고 그가 원하는 것을 이루도록 돕는가?", "나는 그를 온전한 ..

7월 8일(월) 오후 7시~9시, 한국코치협회 대강의장에서 갖는 ICF 한국지부 월례세미나(7월)에서 '자기인식을 깨우는 효과성 코칭 전략'을 발표합니다. 세미나 성격에 맞게 학술적인 논리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실천한 '효과성 코칭'의 기본 프레임을 소개합니다. 효과성 코칭은 개인-팀-조직 차원을 다루지만, 이번 세미나에서는 개인차원에 초점을 두고 발표합니다. 이 발표에서 코칭의 작동기제를 설명하는 핵심 심리로 자기인식(self-awareness)을 다룹니다. ICF 11가지 핵심역량에서 일깨우기(creating awareness)를 강조하고 있는데, 이 역량의 의미를 깊게 살펴보면서 자기인식과 연결시킬 것입니다. "자기인식이란 뭘까?" "자기인식을 깨운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자기인식을 깨우는 코칭..

코칭을 하다보면, 코칭 대상자로부터 "어떻게 하면 질문을 잘 할 수 있나요? 비법을 알려주시겠습니까?"라는 요청을 받는다. 질문은 만드는 것일까? 아니면, 저절로 생겨나는 것일까? 생각 파트너 http://thinkingpartner.co.kr
http://m.mk.co.kr/news/company/2019/278927/#mkmain `한국 벤처대부` 변대규 휴맥스 회장의 격정 토로 스타트업 대상 리더십 강연, 창업 기회 호시탐탐 노리는 기업가정신 가진 구성원이 가장 강한 조직 만들어. 전문지식 융합·협업 절실, 리더는 마케팅하듯 이끌어야 "80세가 돼서도 죽지 않을 텐데 어떻게 살아야 하나 고민이 많을 겁니다. 제 대답은 이렇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기업가처럼 (주체적으로) 살아야 합니다. 그렇게 살아야 여러분들이 나이가 들었을 때도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누군가 시켜서 수행하는 업무들은 앞으로 로봇이 다 대신할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대기업은 가지 마십시오. 대기업에서 일한다는 것은 과거 수십 년간 해왔던 관행을 경험하는 것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