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심리학의 접근
코칭심리학 공부방 참가자님
이번 2차 주제는 긍정심리학 접근입니다. 긍정심리학의 주창자는 미국심리학회장을 지낸 마틴 셀리그만입니다. 그 이외에도 긍정심리학자는 많습니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Diener 등이 있습니다. 공부방에서는 셀리그만과 칙센트미하이가 미국심리학자들에 기고한 특집판 원고를 읽습니다. 그들이 생각하는 긍정심리학의 초기 글을 읽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긍정심리학이 본격적으로 학계에 알려집니다.
<2차 줌 미팅: 긍정심리학의 접근>
Seligman, M. E. P.,&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1, 5~14.
다음 질문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긍정성positivity이란 무엇인가?
2. 긍정심리학에서 다루는 ‘긍정적 속성positive quality’이란 어떤 의미입니까?
3. 그 긍정적 속성에는 어떤 개념들이 속합니까? 희망과 낙관은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4. 그 중에 어떤 개념에 대표성을 부여하고 있습니까? 당신의 주된 관심은 무엇입니까?
5. 종합해 볼 때, 코칭에서 '긍정심리학의 기여'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6. 긍정심리학에 대한 이해는 현재 여러분의 활동에 어떤 시사점을 줍니까?
7. 여러분의 현장 활동에서 무엇을 달리 실행해 보겠습니까?
<참고자료>
두 권의 번역본에 대한 읽기는 선택 사항입니다. 시간적인 여유가 있으신 분은 아래 자료도 읽어 보십시오.
1.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김인자, 우문식 역, 2014). 서울: 풀무레.
2. Biswas-Diener, R., & Dean, B.(2007)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NY: Johns Wiley and Sons Ltd. 긍정심리학 코칭 (서희연 역). 서울: 아시아코치센터. 1장 참고하세요.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심리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심리학의 접근 (0) | 2021.02.21 |
---|---|
코칭심리학이란?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