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hinking partner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 생각 파트너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성 코칭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원하는 결과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코칭
- 코칭방법론
- 조직효과성진단
- 이석재 코치
- 코칭심리학 시리즈
- 효과성코칭워크숍
- 증거기반코칭
- 코칭 프레임워크
- 씽킹 파트너
- 코치올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조직코칭
- 코칭심리학 공부방
- 결정적 행동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Today
- Total
목록[방문 감사합니다] (689)
코치올
효과성 코칭과 코칭방법론이 개발되기까지의 이야기(2) Glaser와 Strauss를 만나 이후 귀인은 바로 Kathy Charmaz(2006, 2014)입니다. 1973년에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 간호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죠. 논문에 나오는 사례들이 mental illness 등 환자들이 많지요. 그녀는 현장에서 많은 연구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죠. 그리고 그 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Kathy도 Glaser와 Strauss의 GT를 사용합니다. 그녀의 여러 학술 논문을 읽으면서 자꾸 끌렸습니다. Kathy도 존재론과 인식론, 상징적 상호주의에 대해 거부감을 보이지는 않지만, 수집한 자료로부터 어떻게 개념을 찾아낼 것인가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구성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것입니다. 내..
코칭이론과 코칭 방법론을 만들고 싶다는 열정에 그야말로 뜨거웠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때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를 고민했지요. 사회심리학에서 접할 수 있었던 Discourse Analysis 접근을 취해볼까? 아니면,내가 좋아하고 연구하고 싶었던 Indentity 와 Self-concept 이론 쪽에서 볼까? 아니면 다른 질적연구 방법론을 취해볼까? 여러 고민을 하다가 Glaser와 Strauss의 아티클을 몇 개 읽어 보았습니다. 각종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여 Core Category를 찾아서 개념 간의 관계를 찾아내는 것을 보고 결정을 했습니다. 심리학에서 Rosch 등이 개념의 형성과정을 연구하면서, 연구대상이 갖는 특징들(features)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군집분석하면서 개념구조를 분석해 내는 것에..
거의 한 달을 논문 작성에 보냈다. 많은 논문과 책을 다시 읽고 새롭게 알게 된 것도 있다. 담고 싶은 생각을 정리했다. 일상을 다르게 채워보자!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p=1630
창 밖을 보니 사회적 거리를 두는 두 개의 별 저 별은 너의 별 저 별은 나의 별 심리적 거리는 없다. 그거면 됐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p=1630
Charmaz의 연구 방향을 좋아하고 그녀의 연구방법론을 효과성 코칭 개발에 활용했지만, 상징적 상호주의 색채를 담은 그의 글들을 읽을 때면 가끔 머리를 아프게도 합니다. 이 학자를 좋아하는 이유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사람들의 세상사에 대한 관심을 분석할 때 그들과의 인터뷰 내용에 담긴 그들만의 세상 보기와 진실 또는 진정성을 존중하면서도 '중간 지점'에서 구성주의자로서 자신의 관점과 의미부여하는 입장을 견지하는데 있죠. 바로 나의 사고체계와 연구활동에서 가장 일치하는 점! 새 책을 써보려고 이것 저것 읽다가 눈길도 주지않았던 글을 읽어 봅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p=1630
사회심리학을 공부하면서 어려웠던 점 중의 하나는 실험참가자를 모집하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방학 중에는 심리학 실험을 하기 어려웠지요. 연구는 연역적 방법이 기본이었습니다. 코칭을 하면서 코칭 대상자만 있다면, 코치와 코칭 대상자의 만남을 통해 코칭 대상자가 갖는 삶의 주제와 문제에 대한 그의 생각과 행동의 지배원리를 찾는 귀납적 접근을 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 지배원리를 찾는 과정에서 효과성 코칭이 개발되었지요. 연역적 방법을 사용한 경험과 심리학 이론은 귀납적 방법으로 도출된 개념들 간의 연관성과 체계를 이론화하는 데 통찰을 주었습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현상학, 상호주의, 구성주의와 사회과학적 방법에 대한 지식과 사고체계가 한 몫을 했지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상호보완, 그 과정에서 코칭방법..
마음 한 구석에 담고 있던 탐구 주제는 'Culture in Mind'인가? 아니면 'Mind in Culture'인가? 아니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인가? 상호작용한다면, 그 상호작용의 과정과 결과물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000년인가, Culture in Mind 책을 처음 접했을 때 무엇인가 열심히 생각했다. 어제는 책장 구석에 있던 이 책을 꺼내 마지막 두 장을 읽어 보았다. 인류학자인 Bradd Shore(1996)는 개념(concept)이 어떻게 구조화되는 지에 대한 한 컨퍼런스에 참여하면서 인지과학을 탐구하기 시작합니다. 과연 문화는 정신적 표상으로 어떻게 사람들의 마음에 자리잡게 되는지를 알아가죠. 이 책은 6년의 탐구와 집필의 결과물입니다. 그는 사모아인의 문화에 녹아 있는 토템이즘, 상..
What is your next step? 효과성 코칭을 개발해 리더를 코칭하면서, 리더가 원하는 결과를 얻는 과정으로서 ‘존재being를 통해 실행doing을 촉진’시키려고 했다. 그동안 이러한 활동을 코칭 리더십으로 전개하면서, ‘존재를 통해 실행을 촉진’시키는 접근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 경험적 증거를 확보하려고 노력했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대학원 때부터 존경한 한 외국 연구자의 연구물을 다시 읽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인사이트를 얻었다. 존재를 통해 실행을 촉진시키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정교하고 세밀하게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관련 연구들을 재구성해보자. 4월부터 집중해서 쓰게 될 글의 핵심 주제이다. 이번 책은 아주 쉽고 재미있게 그러나 이론적이며 일상에서 체함할 수 있는 경험..
주의를 밖에 두지 않고 내면을 향하도록 합니다.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감각적 변화를 잘 추적하고, 감각 정보의 의미를 해석해 보면 어떤 도움이 될까요? 예를 들면, 슬픔이 벅처 오를 때 몸에서 느껴지는 슬픔이 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분노가 치솟을 때, 몸에서 체감되는 그 감각은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요? 일상에서 이성적이거나 감성적인 의식활동에는 아주 친숙하지만, 신체감각적인 정보가 의미하는 것을 깊게 탐구해 보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죠. 심리치료에서는 이러한 정보의 유용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어떤 외국인 코치가 흥미로운 코칭 기법을 사용하길래 배우고 싶었습니다. 그 코치의 코칭을 받으면서 어떻게 physical sensing을 하고 코칭 이슈와 연결시키는 지를 체험하였습니다. 이 기법을 활용한..
지난 2009년부터 2014년에 집중적으로 시스템적 사고를 활용한 코칭접근과 개인-팀-조직의 효과성을 진단하고 연계시켜 통합코칭을 하기 위한 코칭설계를 실행하는 '효과성 코칭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진행했습니다. 통합적 코칭을 하다 보니, 개인코칭 뿐만 아니라 팀 코칭과 그룹코칭, 사업부 워크숍을 함께 진행해야 했습니다. 퍼실리테이팅 툴이나 방법이 필요했지요. 코칭 대상자의 잠재성을 끌어내는 접근에는 코칭과 상담적 요소를 활용하고, 팀 코칭과 사업부 워크숍에는 퍼실리테이팅을 통한 행동과 원하는 결과의 연계, 변화요구-결정적 행동-원하는 결과를 연계시키기 위한 시스템적 접근 등을 동시에 고려하는 코칭 설계를 하는 것입니다. 초기 버전의 효과성 코칭에서 빈 공간을 채워주는 코칭 접근을 필요로 했죠. 잘 알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