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이란?
이석재 박사(2014)가 개발한 코칭방법론으로 “강점기반의 효과성 모델을 토대로 개인과 팀, 조직에 대한 과학적인 진단에 기초해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고, 그 실행을 지원함으로써 개인과 조직이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는 코칭이다.”
출처: 이석재(2014).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서울: 김앤김북스.

[그림] 강점기반의 효과성 모델
(Strength-based Effectiveness Model)
• 강점기반의 효과성 모델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
강점요인(strengths): 개인 효과성, 팀 효과성과 조직 효과성의 높고 낮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큰 요인
결정적 행동(critical behavior):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할 가능성을 차별적으로 높이는 행동
원하는 결과(effective results): 경영 전략적으로 기대되는 성과에 기여도가 높은 결과
•리더가 관리하는 3가지 효과성 요인
개인 효과성 요인: 조직 구성원과 리더가 리더십을 발휘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갖추어야 할 리더십 핵심 역량이다.
팀 효과성 요인: 팀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관리해야 할 요인으로 팀의 기능적이며 구조적인 특성과 관련 있다.
조직 효과성 요인: 조직이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조직의 기능적이며 구조적인 특성과 관련 있다.
강점요인은 개인과 팀, 조직의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코치는 조직 구성원들의 개인 효과성이 팀 효과성과 연계되고 조직 효과성으로 나타나도록 코칭한다.
• 강점 요인을 구성하는 두 개의 공통 속성: 생산성과 긍정성
생산성: 팀/조직의 생산성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강점요인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 속성
긍정성: 긍정적인 팀/조직분위기를 형성하고 창의적인 문화를 갖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강점요인들의 공통 속성
•강점 요인에 작동하는 3가지 차원
내적 차원: 개인의 내면에서 주로 작동하며 자기관리가 필요한 요인들의 공통 차원
상호작용 차원: 타인과의 관계에서 주로 작동하며,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공통 차원
성장촉진 차원: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주로 작동하며, 방향성을 주는 요인들의 공통 차원
효과성코칭은 온라인으로 운영되는 진단 툴을 통해 각 조직단위 효과성을 진단하고 상호연계되도록 합니다. 개인효과성은 '효과적 리더십진단(Effectiveness Leadership Assessment), 팀은 팀효과성진단(Team Effectivenesss Assessment), 조직은 조직효과성진단(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sessment)을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다면진단합니다.